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람들

사람들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람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소금 문학관에서 인생을 탐구하고 작품을 읽다

2024.01.30(화) 23:12:14장승재작가(sjjang0400@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소금문학관은 황해바다와 금강을 연결하는 강정포구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는 경사진 언덕에 있습니다. 100여년 전에 금강을 거슬러 오른 나룻배 모양을 형상화하였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유려한 필체로 유명한 박범신 작가의 소설인 소금을 모티브로 한 복합문화 공간입니다. 강경산 기슭 언덕에 자리 잡은 2층 하얀 바탕에 외벽 건물은 그 자체로 멋스러움을 뽐내고 있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바다의 포구와 강경산의 푸른 하늘을 모두 품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에 개관하여 소금문학관을 관람하고 인근 옥녀봉 일대를 가벼운 발걸음으로 산책을 합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문학, 예술, 종교, 미술, 건축, 자연의 내포 하고 있어 이런 조화로운 환경과 공간에서 마음껏 내적 치유를 하며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작가의 삶과 작품 세계를 직접 마주할 수 있고, 그의 연대기와 소품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해설을 들으며 열정과 끈기를 배울 수 있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평생 청년 작가로 각인된 박범신 작가는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시기인 1973년부터 현재에 이른 50년 간을 왕성한 작품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소금문학관 입구에는 소금 책 모형과 특정 페이지를 펼친 모습이 눈에 띕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과거에는 강경이라는 장소가 사람과 돈이 모이는 충청도에서 유명한 공간이었으나 현재는 비록 작은 항구지만 몇 년 이내에는  분명 많은 발길이 다시 찾아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소금 문학관 앞쪽 마당에는 인상적인 조형물이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조각가 류훈의 작품 ‘오늘 저녁 술 한잔 어때요’는 세 명의 인간 형상을 표현합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한 명은 담배를 피우며 시름에 빠진 중년의 노동자이고, 남은 두 명은 서로 담소를 나누다가 “술 한잔 하자!”라고 말하며 자세를 취하는 어른을 지켜보는 젊은 노동자입니다. 사람 냄새가 가득한 소금문학관에서 주변 이웃들의 피와 땀이 서려 있는 삶을 조망하여 친근감 있게 다가왔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지역에서 작품활동을 하는 예술인에게 전시 공간으로도 활용이 되고 있습니다. 예술인에게는 전시 경험과 경력을 도모할 수 있고, 논산과 강경지역의 주민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예술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미술 작가의 성장을 위한 발판으로 마련한 이 사업은 지속적으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강경 출신 소설가 박범신 작가의 작품 세계를 뛰어 넘어 문화 예술의 저변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박범신 님의 소설 소금에는 “세상의 모든 아버지를 꼭 둘로 나눠야 한다면, 하나는 스스로 가출을 꿈꾸는 아버지, 다른 하나는 처자식들이 가출하기를 꿈꾸는 아버지로 나눌 수 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사내로 태어나 가족이라는 울타리에서 아버지가 짊어져야 하는 무게와 비애를 이 한 문장에 함축해서 잘 나타내었습니다. 그리고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아버지에게 은퇴 후에 남는 처량함이 우리 아버지의 삶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마치 강남고속버스터미널 반디앤루니스에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책을 읽었던 모습이 생각이 납니다. 비슷한 인테리어로 꾸며 두어서 이곳도 그곳 못지 않게 많은 관광객이 방문을 하여 매력에 푹 빠지셨으면 합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사람에게 관심이 높은 그의 다른 문학책인 은교라는 도서에서도 묻어납니다. “내가 꿈꾸는 사랑은 오래 앉아본 듯한, 편안한 의자 같은 것이다” 인간관계를 잘 관통해서 표현하였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현대적인 감성을 담은 인테리어가 매우 돋보입니다. 의자가 제각각 놓여 있고, 원고지의 틀 안에 작품이 놓여 있고, 글이 아닌 사진과 헤드셋도 보이는게 입체적으로 표현을 하고 있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그가 사용했던 펜이나 시계, 편지지, 옷가지, 가방, 컵, 앨범 등이 놓여 있습니다. 보관이 깨끗하게 잘 되어서 그 느낌을 제대로 전달받을 수 있었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그의 일대기를 연차별로 기술을 하였고, 영상과 사진을 통해 생동감 있게 표현을 하고자 하였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나에게 소설이란 당대를 반영하는 겁니다. 30대에 인기가 있고, 베스트를 셀러를 낸다는 건 열화와 같은 사랑을 받았다고 그는 소신을 밝혔습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포구길 38은 우리의 삶을 작품으로 잘 그려낸 공간이자 시간입니다. 소금문학관에서 평온한 마음을 달래면서 그의 작품 세계로서 각박했던 요즘에 나를 떠올려봅니다.
                                                                                                   
강경산 소금문학관에서 작품 세계와 지역의 색깔을 보다 사진


강경산소금문학관
충남 논산시 강경읍 강경포구길 38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