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전체기사

전체기사

충남넷 미디어 > 소통 > 전체기사

경북궁 같은 웅장함을 지닌 부여 무량사

2014.04.05(토) 11:24:47지구유목민(tour1979@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부여군 외산면에 위치했지만 부여보다는 보령시내에서 더 가깝다.
성주사지를 거쳐 근처에 있는 무량사를 들러보기로 한다.
 
만수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천년 고찰 무량사.
문화재청이 선정한 2012년도 사진찍기 좋은 가을풍경 문화재 30선에
하나로 선정되었다고 한다.
 
자세히 알수 없으나 신라때 범일국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그후 고려초기에 개창되었지만 임진왜란때 병화에 사찰전체가 불타버린 뒤 
조선 인조때에 중건되었다.

무량사 안에는 극락전(보물제356호), 오층석탑(보물제185호) 석등(보물 제233호),
미륵불괘불탱(보물 제1265호) 등의 보물과 김시습 부도, 영정, 당간지주 등
도지정 문화재가 있으며, 주변에 무진암, 도솔암, 태조암 등 여러 암자가 위치하고 있다. 
 
영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에서 이몽학이 난을 일으킨 곳이 바로 이곳이다.
임진왜란 중에 난을 일으켜서 난중에 난이 일어난 것이다. 업친데 덮친격이라고 할까?
어찌된 것 이몽학의 난은 홍주성에서 막아냈고 막은 사람들은 청난공신이 되었다.

아직도 홍성에 가면 
당시 이몽학 난을 진압했던 홍주목사 홍가신의 홍양청난비가 세워져 있다.
 

 

무량사 진입로를 지키고 있는 견

▲ 무량사 진입로를 지키고 있는 견

멋진 인공눈썹을 주인이 선물해준 것 같다..
개는 좋았는지 모르겠지만 주인의 의도대로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는 충분하다.


무량사 일주문

▲ 무량사 일주문
 

이제 일주문을 지나면 이젠 신성한 공간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로 치면 교문에 해당하기 때문에 무슨山 무슨寺라고 쓴다.
이젠 만수산 무량사의 공간으로 들어가 볼까요?

무량사 당간지주

▲ 무량사 당간지주

당간지주에 대해서 많이 물어보시는데요!!
그럴때마다 간단히 교회에 보면 십자가 있는 것 처럼
"여기가 절이다"라고 표시하는 깃발 거는 곳이다.
 
당이 깃발이고 간은 저 가운데 세우는 깃대,
그 옆에 지주해는 것을 그래서 당간지주가 된다.

무량사 사천왕문

▲ 무량사 사천왕문

무서운 얼굴로 절을 악귀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근데 자세히 보면 착한사람이 무서운 얼굴을 억지로 하고 있다는 느낌을 든다.

한국인의 심성이 그대로 표현된 듯한 모습이다.

용을 미꾸라지처럼 쥐고 있는 사천왕...
그게 그렇게 웃겼다.

일주문-당간지주-사천왕-탑-금당 이런게 하나의 절의 양식인셈이다.
이젠 사천왕문을 지나서 탑과 본당이 있는 무량사 경내로 들어간다.


 

무량사 석등과 오층석탑

▲ 무량사 석등과 오층석탑

무량사석등(보물 제233호),  무량사 오층석탑(보물 제185호),
무량사극락전(보물 제356호) 무량사는 오래된 전통만큼이나 보물이 많다.


 

무량사 오층석탑

▲ 무량사 오층석탑


고려전기의 탑이지만
오래전에 멸망한 백제사람들이 만들어서 다시 백제양식이 묻어난다. 

익산 왕궁리 5층석탑, 장하리 3층석탑처럼
나라는 망했어도 그들 의식세계까지 완전하게 바꾸지 못했나 보다.




 

무랑사 극락전

▲ 무랑사 극락전


흔치 않는 2층 건물!! 법주사나 화엄사는 넓은 공간에 있어서
이렇게 큰 장엄함을 느끼지는 못했는데
무량사는 산기슭에 위치해서 그런지 크게만 느껴진다.

안에 소조불이 있지만 제가 갔을때는 보수공사중이라 옆에서 살짝만 봤습니다.



 

무량사 극락전

▲ 무량사 극락전

무량사 극락전

▲ 무량사 극락전

윗부분만 찍으니 경북궁의 근정전이라고 해도 믿을만큼 웅장하다.


 

경북궁 같은 웅장함을 지닌 부여 무량사 사진


 

영산각

▲ 영산각

경북궁 같은 웅장함을 지닌 부여 무량사 사진


 

김시습부도

▲ 김시습부도


부도 : 유명한 스님의 사리 모신곳 
탑 :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곳

그럼 김시습이 스님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된다.
방랑시인 김시습이 이곳에 와서 은둔생활을 하다가 죽었다고 전해진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