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조선시대 공립학교는 어땠을까

부여 홍산항교

2016.06.26(일) 13:22:56 | goood33 (이메일주소:goood33@hanmail.net
               	goood33@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1

날씨는 무덥지만 여행은 즐겁기만 하다. 부여 여행길에 홍산향교를 관람했는데 홍산에는 옛 건물인 홍산 객사와 홍산 동헌, 홍산향교가 관리도 잘 되고 있다.

홍산향교는 이정표만 보고 찾아가다가 마지막에 이정표가 없어서 찾아가는데 어려움도 있었지만 홍산향교 가는 길은 마을안쪽에 고즈넉하게 자리 잡고 있었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2

조선시대 공립학교라고 할 수 있는 향교가 있는데 홍살문 너머로 홍산향교가 보이고, 향교 뒤쪽으로는 커다란 나무들이 향교를 감싸 안은 듯 풍경도 좋았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3

홍산향교 외삼문이 닫혀 있어서 먼저 오른쪽에 담장 높이가 낮고  커다란 은행나무가 보여서 오른쪽 담당을 따라서 걸어갔다.

홍산향교
▲ 홍산향교

홍산향교는 충남 기념물 제128호로 1517년(조선 중종 12년)에 세워진 홍산의 관립 교육기관이다.
홍산향교는 입구에 홍살문이 있으며 외삼문과 내삼문으로 구획된 담장 안에 유생들이 공부하던 명륜당과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이 있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4

담장 옆에 있는 홍산향교 은행나무는 향토유적 제84호로 지정될 정도로 수령은 536년이 넘고, 수고는 14m이며, 나무둘레는 4m로 향교의 수호신처럼 느껴진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5



홍산향교 명륜당
▲ 홍산향교 명륜당

홍산향교 명륜당(明倫堂)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6

비석이 여러 개가 나란히 있는데 홍산향교 중수비에 대한 비석이 많다.

홍산향교 내삼문
▲ 홍산향교 내삼문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7

명륜당과 내삼문 사이로 바라 본 은행나무와 파란 하늘이 예쁘게 보인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8

내삼문은 닫혀 있어서 내부로 들어갈 수는 없었고 담장 너머로 살짝 살펴 보았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9

대성전은 1669년(현종 10년)에 중수하였고 조선 후기에 다시 고쳐지었다. 대성전(大成殿)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5성(聖), 송조 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 등 27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공립학교는어땠을까 10

홍산향교 주소 : 충남 부여군 홍산면 홍사로 34-11
홍산향교 전화 : 041) 835-1752

 

goood33님의 다른 기사 보기

[goood33님의 SNS]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