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우리 충청남도의 심벌마크를 아십니까?

2015.12.28(월) 13:54:07 | 잔잔한 미소 (이메일주소:ih2oo@hanmail.net
               	ih2oo@hanmail.net)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우리 충청남도의 심벌마크를 아십니까?

충청남도의 심벌마크

▲ 충청남도의 심벌마크


충청남도의 심벌마크는 충청남도 홈페이지에 위처럼 자세히 설명되어 있더군요.

 

저는 공주 시민의 한사람으로 공주시의 브랜드가 자랑스럽습니다.
공주시의 CI, BI, 마스코트가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공주시 브랜드는 공주시청 정문은 물론 시에 속한 시설이나 차량에도
공주시 심벌마크가 자랑스럽게 붙어있습니다. 
이 마크는 여러 사람이 참여해 공주시에 적합하도록 개발한 결과
지난 11월 세계 3대 디자인 상 중의 하나인 독일 ‘레드닷 어워드’ 본상을 받았답니다.

앞으로 공주시는 시의 가치 상승을 꾀하고 브랜드를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도록 한다고 하니 기대가 됩니다.
 

공주시 시청 정문

▲ 공주시 시청 정문의 심벌마크
 

공주시 업무용 차량의 심벌마크

▲ 공주시 업무용 차량의 심벌마크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고, 살고 싶은 공주시의 새로운 CI는 찬란한 공주의 역사,
눈부신 번영과 희망의 도시, '행복한 미래로 가는 문'이라는 컨셉트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열려있는(open-mind), 창조적인(creative), 공유하는(sharing) 세 가지 핵심가치를 바탕으로
디자인 되었으며 백제의 진취적인 왕, 무령왕의 왕릉을 모티브로
공주시가 쌓아온 역사 문화적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였습니다.

형태는 조형미를 고려하여 공주시 6개의 동과 10개의 읍, 면을 의미하는
16개의 조각으로 형상화되었습니다.

컬러는 백제의 품격을 나타내는 yellow, brown, 생동감과 활기를 주는 orange, 진취적인 미래의 비전을
상징하는 blue를 포인트 컬러로 조화롭고 아름다운 공주시를 표현하였습니다.
 

충청남도의 다른 시·군의 심벌마크가 궁금하여
각 시·군의 홈페이지를 찾아 모두 조사해 보았습니다.

 각 시군의 심벌마크.hwp 

충청남도에는 8개의 시와 7개의 군으로 모두 15개의 행정구역이 있습니다.
이들 각 시와 군은 각각 특색을 나타내는 심벌마크가 참 재미있습니다.
나름의 특색있는 심벌마크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었습니다.

그러면 다른 시·군의 심벌마크는 어떤지 살펴봅시다.
모두 각 시군의 홈페이지에서 찾은 자료입니다.

천안시입니다.
천지인의 이미지를 천안의 영문 첫 글자인 C를 기본으로 표현하였으며
타원의 진취적 기상과 교통(청색), 교육(적색), 문화(녹색)의 중심도시를 표현하였습니다.
흥타령에 어우러진 춤사위를 나타냈으며 국토의 중심, 21세기 천안인을 나타냈고
하단 부분의 회색은 편안한 땅을 나타냈습니다.

보령시입니다.
인심 있고 화목한 인간적인 측면과 천혜의 자연환경에 대한 부드러운 조화의 이미지를
타원의 형태로 표현하였습니다.
동백꽃의 꽃잎 넷과 수술 다섯은 건강하고 화려하게 피어나는 모습으로
만세보령의 번영과 풍요로움을 "V"자 형태로 표현하였습니다.
전천후 관광 도시로서의 발전을 기대하는 파도의 동적인 이미지로
간결하게 제시하였습니다.
 

아산시입니다.
전통을 의미하는 녹색과 첨단산업을 의미하는 청색이 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사람의 형태로 표현하여 전통과 발전이 공존하는 아산시의 특징과 물결모양을 통해
시민이 함께하는 아산을 표현하였습니다.

서산시입니다.
서산시 천혜의 자연조건인 대자연의 풍요로움과 무궁한 도약, 전진, 발전을 나타내며,
서해안 중심지로서의 온 시민의 화합, 단결을 보다 쾌적하고 살기 좋은 도시 미래를 향해 발전하는 도시이미지를 상징합니다.

녹색은 서산시의 영문 표기문자인 ‘s’자와 시 나무인 소나무를 형상화 하였으며,
서산시 전체의 자연조건인 대자연의 풍요로움과 쾌적한 환경을 나타냅니다.
청색은 서산시의 맑고 푸른 바다를 형상화하였으며,
서해안 중심지로서 온 시민의 화합, 단결을 나타냅니다.
백색은 서산시의 대표적인 문화재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과
뫼 ‘山’을 형상화하였으며, 무궁한 도약, 전진, 발전을 나타냅니다.


논산시입니다.
상징마크 아래 황색은 논산시의 황산벌을, 위 파란색은 하늘을 나타내며
영문 NONSAN의 ‘O’는 태양을 나타내며, ‘A’는 산을 나타냅니다.
이는 넓은 황산 벌판 위에 푸른 하늘이 있고, 밝게 떠오르는 태양과
자연의 초록이 있는 논산의 평화롭고 아름다움을 형상화한 것이며,
영문표기 Nonsan은 자유롭지만, 안정감 있고 개성 있는 서체를 사용하여
논산 시민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계룡시입니다.
계룡산 천황봉을 모티브로 하여 산과 물 사이의
‘조화로운 전원도시’를 표현한 이미지 형태로서
녹색은 계룡산과 자연, 청색은 금강과 젊음을 나타내며
계룡산과 금강이 계룡시를 잉태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당진시입니다.
가운데 심벌마크는 열정이 넘치는 활기찬 도시 당진을 콘셉트로 하여
세계로 도약하는 당진을 의미합니다.
회전하는 타원은 슬래브(slab)를 모티브로 당진이 철강 산업의 메카임을 나타내고 있으며,
시민과 하나 되는 당진을 의미합니다.

붉은색은 태양과 생명을 의미하여 정열적인 국제도시 당진을 나타냅니다.
푸른색은 당진의 푸른 바다와 신뢰를 의미하며,
녹색은 당진의 친환경적이고 친자연적인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금산군입니다.
천혜의 자연과 신비로운 인삼을 형상화하였습니다.
우리 민족의 정서가 깃든 자연스러운 붓 터치로 틀에 묶이지 않은
친근함을 표현하였습니다.
인삼 열매가 금산의 맑고 깨끗한 강과 부드러운 산 위에 떠오르는 태양으로 상징화되어
희망찬 금산의 미래를 표현하였습니다.
색상은 전통의 오방색을 이용하여 금산의 다양한 문화를 표현하였습니다.
심볼 마크의 적색은 인삼의 열매, 녹색은 금산의 부드러운 산과 인삼의 잎,
노란색은 인삼의 뿌리, 파란색은 금산의 맑고 깨끗한 강을 상징합니다.

부여군입니다.
‘백제금동대향로’ 상단부 ‘봉황’을 형상화하여 21세기를 향해 힘차게 비상하는 모습으로
진취적인 부여군민의 강렬한 의지를 상징하며 세계로 도약하는 부여를 표현하였습니다.
백색 바탕은 군민의 순수함과 청결함, 한마음 한뜻의 화합을 상징하고
백마강의 물결과 봉황의 중후함을 상징합니다.
맨 위의 붉은 색은 세계를 향해 도약하는 태양을 상징합니다.

서천군입니다.
전체의 모양은 한글 구성단위인 ‘ㅅ·ㅊ’과 ‘ㅓ·ㄴ’을 기본 도형으로 하여
힘차고 역동적인 곡선의 조화 있는 흐름으로
서천군의 오랜 전통과 희망찬 미래를 표현합니다.
청색은 서해, 녹색은 금강, 적색은 태양을 형상화하여
서천군의 깨끗한 자연환경과 희망차고 밝은 미래를 표현하였습니다.

청양군입니다.
21세기 생명의 땅! 청정 청양의 영문 첫 글자 ‘C’를 조형의 기본으로
수려한 자연환경을 표현하였습니다.
칠갑산의 울창한 숲과 맑은 공기(녹색), 깨끗한 물과 훈훈한 인심(청색),
특산물과 청양의 미래(적색)를 표현하였으며
3개의 동심원은 청양의 역사와 미래, 생명을 나타냅니다.

홍성군입니다.
홍성 역사의 상징인 조양문과 풍요로운 서해안 중심 활기찬 홍성을 표현합니다.
상단의 6개 흰색 선은 육대주, 중앙의 문 모양은 조양문,
하단의 5개의 청색 선은 오대양,
청록색은 21세기 풍요로운 서해권의 전원도시를 상징합니다.

예산군입니다.
청색 타원은 인간생활의 기본요소인 물의 이미지로서 예당저수지를 표현하고,
녹색 타원은 환경이 보전된 청정·전원도시를 의미하며,
황색 타원은 풍요와 희망을 의미하며 황금 들판을 표현하며
빨간색 점은 예산발전의 목표를 의미하며 태양, 사과를 표현한 것입니다.

태안군입니다.
적색은 태안의 아름다운 자연(낙조)과 밝은 미래, 녹색은 태안의 청정 관광지,
청색은 장대한 리아스식 해안, 해안 절경 천삼백 리를 상징한 것입니다.
태안의 첫 글자인 ‘ㅌ’과 ‘ㅇ’을 시각적 이미지화한 것으로 군민의 일체감을 조성하고
태안군의 밝은 미래를 상징합니다.
적, 청, 녹색을 혼용하여 자연과 풍요로운 삶, 진취적인 기상을 표현한 것입니다.

앞으로 우리 충청남도는 물론 자기가 속한 시나 군의 상징물에
더욱 관심을 두고 애향심을 키웠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잔잔한 미소님의 다른 기사 보기

[잔잔한 미소님의 SNS]
  • 트위터 : https://twitter.com/#!/ih2oo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