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ungcheongnam-do Human Rights Center

인권자료실

목록으로1
[인권센터] 인권동향(2024. 12.) 및 인권침해 상담 안내
  • 2024-12-30
  • 자치행정과
  • 941

○ 충남도민의 인권보호 및 증진을 위한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충청남도 인권센터는 주요 인권 이슈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매월 인권 동향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인권동향은 언론에 보도된 기사를 △인권침해 및 차별 사례 △충청남도 인권 동향 △타 시도 인권 동향 △국내 인권 동향으로 나누어 수록하고 있습니다.

-------------------------------------------------------------------

인권침해 및 차별 상담조사 안내

※ 신청대상 : 본인 또는 제3자

※ 조사대상

  1. 도 및 그 소속 행정기관

  2. 도내 시·군(도의 위임사무에 한함)

  3. 도가 출자 또는 출연하여 설립한 기관

  4. 도의 사무위탁기관(도의 위탁사무에 한함)

  5. 도의 지원을 받는 각종 단체와 시설


※ 상담 및 조사 신청방법(비밀보장)

  1. 상담전화 : 635-3614, 3615, 2339

  2. 방문상담 : 도청 본관 1층. 125호

  3. 행정포털 : 오른쪽 스크롤바 옆 주황색 탭(인권침해 고충상담)

  4. 도 누리집 : 인권상담 (http://www.chungnam.go.kr/cnnet/content.do?mnu_cd=CNNMENU02250)

  5. 충청남도 인권센터 누리집 : http://www.cn.go.kr/humanrights.do

--------------------------------------------------------------------

Ⅰ. 인권침해 및 차별 사례

  1. 인권위, 인천시 ‘퀴어 영화’ 상영 금지는 차별(아시아투데이)

  2. 인권위 "집회 참가자 얼굴 짓누르고 수갑 채워…경찰 과도한 물리력 행사"(아시아경제)

  3. 대출받으러 간 장애인에 "성년후견인 서류 필요"…인권위 "차별"(연합뉴스)

  4. 인권위 "지자체의 입원 의뢰 없는 행정입원은 인권침해"(뉴시스)

  5. 여성 소방관에게는 운전대 못 맡긴다?…인권위 "성차별"(연합뉴스)

  6. 인권위 "경찰, 장애인 조사시 무자격 조력인 배정은 차별"(뉴스1)

  

Ⅱ. 충청남도 인권 동향

  1. 충남도 인권센터 장애인 활동지원 시도추가 지원제도 개선안 발표(충청일보)

  2. 충남도, 인권 가치 공유의 장 열어(충청일보)

  3. "충남도 기후위기 대응해 주택 개량 지원 늘려야"(대전일보)


Ⅲ. 타 시도 인권 동향

  1. 제주도, '인권침해' 논란 도시재생센터 인사규정 개정키로(헤드라인제주)

  2. 10명 중 4명 ‘CCTV 감시’ 당했다…청소년 ‘알바 지옥’(경향신문)

  3. “와상장애인 이동권 제한은 차별” 잇단 결정에도…경기도 ‘무대책’(KBS뉴스)

  4. 도교육청 인권위 "레드카드 사건, 인권침해 판단 어려워"(전북중앙)

  5. 경기도, 국가인권위원회 주관 '대한민국 인권상' 기관 표창 수상(뉴스핌)

  6. 충북인권센터, 광역단체 첫 대한민국 인권상 영예(아이뉴스24)

  7. 이주노동자 10명 중 4명 “내 월급통장 사장이 관리”(광주일보)

  8. 계엄시 ‘인권 보호’ 제한 우려... 경기도 ‘도민 보호’ 역할 절실(경기일보)

  9. 광주시 학생인권조례안 그대로 유지…폐지조례안 부결(뉴스1)

 10. "대전시인권센터 복원 차기 지방선거 공약화해야"(굿모닝충청)


Ⅳ. 국내 인권 동향

  1. 대법 “5·18 피해자 840명에 430억 배상” 확정(동아일보)

  2. 이주노동자 산재 사망률, 한국인 노동자의 3배(한겨레)

  3. 인권위 "민주평통 자문위원, 청소년도 위촉될 수 있어야"(연합뉴스)

  4. 장애인 선수 4명 중 1명 '인권 침해' 경험…42%는 '무대응'(연합뉴스)

  5. 인권위, 국무총리에 65살 정년연장 권고하기로(한겨레)

  6. 중증장애 아동 정신병원 입원시킨 시설장 특별인권교육(한겨레)

  7. "수어 통역 없는 계엄 발표" 청각장애인 알 권리 어디로(노컷뉴스)

  8. 인권위 "신규 채용 미화직 근로자 정년 65세 상향 필요"(아시아경제)

  9. 이주아동, 한국아동보다 입원율 5배·응급실 이용률 3배 높아(매일노동뉴스)

  10. 대법 “장애인 접근권 침해하는 시행령 방치한 국가, 손해 배상해야”(경향신문)

  11. 인권위 "교정시설 수용자 전화사용 허용해야"...법무부, 권고 불수용(뉴스핌)

  12. 인권위 "여성 정회원 가입 제한 골프클럽, 개선 권고 불수용"(연합뉴스)

---------------------------------------------------------------------------

※ 작성 및 문의 : 충청남도 인권센터 오은희 인권보호관 (☎635-3615)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