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정책/칼럼

정책/칼럼

충남넷 미디어 > 도민의 눈 > 정책/칼럼

농촌 주민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내포칼럼 - 홍승지 충남대학교 교수

2023.03.15(수) 22:47:37도정신문(deun127@korea.kr)

농촌 주민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사진

최근 챗GPT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상당하다. 지난해 말 챗GPT 베타버전이 출시된 이후 2개월만에 월간 사용자가 1억 명을 돌파하였다고 한다. 각종 언론 매체에서도 앞다투어 챗GPT에 대한 소개와 사용 경험, 챗GPT가 인간 세상에 가져올 변화 등을 다루고 있다. 챗GPT의 가장 큰 특징은 문장을 통해 질문을 주고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챗GPT는 대용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훈련되었고, 이러한 훈련과 학습의 반복을 통해 인간과 유사한 텍스트를 생성하여 보여준다. 답변의 수준이 상당히 높은 편이어서 검색 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누리고 있는 구글이나 네이버에 큰 위험으로 다가올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아직은 챗GPT가 질문에 대한 거짓 답변을 제시하는 ‘환각’이나 저작권 문제 등 여러 가지 한계가 거론되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조만간 이러한 한계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필자도 최근 연구와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기 위해 챗GPT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데, 질문을 한글로 작성할 때보다 영어로 작성할 때 훨씬 더 풍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인데, 챗GPT가 사용한 훈련과 학습 데이터의 대부분이 영어로 된 자료이기 때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다루는 분야에서 ‘Garbage in, garbage out!’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 속담으로 표현하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정도가 될 것이다. 결국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구축하고 활용할 수 있는 인프라가 먼저 구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정부에서도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데이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데이터 구축 및 활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202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범정부 프로젝트인 ‘디지털 뉴딜’을 들 수 있다. 디지털 뉴딜은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위기 극복과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 대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가 단위 디지털 사업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의 대표과제인 ‘데이터 댐’의 개념은 데이터를 축적해 댐에 담고 인공지능, 5G 통신 네트워크와 결합하여 방류함으로써 스마트 농업, 스마트 공장,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데이터가 가치 있게 활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실제로 의료나 금융 분야에서는 관련 빅데이터를 토대로 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분야가 확장하면서 빅데이터의 활용이 관련 산업 분야의 주요한 성장 동력으로 인식되고 있다.

금융 분야의 예를 들면 ‘페이코’라는 기업은 여러 곳에 흩어진 개인이 자산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빅데이터 기반으로 개인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금융상품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모니’라는 기업은 금융, 생활 데이터를 스마트폰 단말기 내에서 안전하게 관리하고, 데이터 거래 혹은 이벤트로 포인트를 적립하여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이외에도 수십여 개의 기업들이 개인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개인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실 농업 및 농촌 분야에도 새로운 사업 아이템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개인 정보 데이터들이 존재한다. 행정 데이터, 농업경영체 등록정보, 농협 조합원 정보 등이다. 이러한 데이터를 농어민의 개인 금융 및 의료 정보 등과 결합할 수 있다면 개별 농업인의 상황에 적합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 아이템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농업 분야의 현실은 앞서 언급한 의료나 금융 분야와는 달리 민간 기업들의 참여가 활발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관련 연구에서는 이러한 상황의 원인으로 분야별 데이터 간 연계를 위한 마스터 데이터와 연계 지원 체계의 부재, 이용 목적에 맞는 맞춤 데이터 제공 서비스 부족 등이 거론되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데이터 가공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부족을 언급하고 있다. 즉, 데이터에 기반한 IT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공공 기관 부문은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을 지원하고 민간 부분에서는 주도적으로 서비스 모델 등 비즈니스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지만,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는 농식품 분야의 경우 정책적 지원 없이는 민간의 참여가 낮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기업 입장에서는 개인 정보와 관련된 사업자 허가를 받아야 하는 선결 조건을 충족해야 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정작 사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다.

매 순간 수많은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고, 이러한 데이터를 어떻게 활용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결정될 것이다. 고령화와 지역 소멸이라는 난제를 안고 있는 우리의 농업과 농촌이 지속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는 양질의 데이터 확보와 제공뿐만 아니라 관심 있는 기업들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고려해 봐야 할 시기이다.

농촌 주민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사진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