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의정뉴스

의정뉴스

충남넷 미디어 > 생생뉴스 > 의정뉴스

안전 충남 실현, 속도 내야 할 때

의원시론 - 김명선 충청남도의회 의장

2021.03.15(월) 21:31:15도정신문(deun127@korea.kr)

안전 충남 실현, 속도 내야 할 때 사진


충남 안전 지수·자살률 하위권
사회안전망 구축에 힘 쏟아야

 
정부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매년 연말 ‘지역안전지수’를 공개하고 있다. 각 지역의 안전수준을 투명하게 알림으로써 자치단체장들이 재난안전관리와 취약분야 개선에 관심을 갖도록 만들기 위한 정책이다.

충남의 안전지수는 어느 정도 수준일까. 아쉽게도 중하위권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최근 5년간(2015~2019) 화재와 범죄, 감염병의 경우 3등급을 벗어나지 못했고, 교통사고 분야는 한 차례를 제외하고 모두 4등급을 기록했다.

자살 분야에서 심각성은 두드러진다. 4등급으로 시작해 2018년부터 2년간 가장 낮은 5등급을 기록했다. 최하위등급은 도 단위 지자체중에서 충남이 유일하다.

통계청의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018년 29.8명에서 2019년 29.1로 소폭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17개 시도에서 으뜸, 그것도 3년 연속이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충남의 안전 신호등 색깔은 ‘빨간불’이다. ‘2021 사회안전지수’에 따르면 전국 155개 기초자치단체 중 살기 좋다는상위권 지역 30곳에 우리 도내 기초지자체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오명을 씻기 위해 충남도는 사회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짜고 있다. 2018년부터 재난안전 중장기 계획인 ‘안전 충남 2050’ 실행계획을 가동했다.

도민의 안전 의식을 고취하고 대응 역량 강화를 모색하기 위해 권역·주제별 체험시설을 구축했고, 영유아 교통안전용품 지원, 도민 안전보험 확대, 안전속도 5030 운동 같은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다만 대형병원 등 도민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정책은 부족한 것 같아 아쉽기만 하다.

안전한 사회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범위가 워낙 다양하고 넓은 데다 결과는 더디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모든 일에는 때가 있다. 이제는 안전한 충남을 만들기 위한 여정에 속도를 내야 할 시점이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