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화면컨트롤메뉴
인쇄하기

사는이야기

사는이야기

충남넷 미디어 > 사람세상 > 사는이야기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2013.07.10(수) 19:13:14국화(flsk0723@naver.com)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의 글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지난주에 가족과 함께 충남 아산시 도고면 도고온천 입구에 있는 도고항아리집에 갔습니다. 우리 가족은 가끔 이 곳에 들려서 항아리도 구경하고 바로 옆에 있는 메밀 막국수도 먹곤 하는데요. 요즘 어머니께서 산야초 효소 담는다고 이집 항아리를 사다가 사용합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우리가 가는 날에 여러 종류의 항아리와 토기화분 등 다양한 모양의 질그릇들이 놓여 있었는데요. 용도가 무엇에 사용하는지 잘 모르는것들도 있어서 어른들께 물어 보았습니다. 항아리 종류로는 쌀독, 간장항아리, 된장항아리, 떡시루 등이 있다고 하는데요 장 담그는용이랑 효소 담그는용이 다르다 하여 우리는 효소용 항아리를 구입했습니다.

현대의 간편한 생활에 익숙한 젊은 사람들은 우리 고유의 흙으로 빚은 항아리에 별 관심이 없는 것 같지만, 그래도 숨쉬는 항아리를 바라보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이런 화분들은 다육이나 야생화에 어울리는 화분들인데요. 식물도 이런 숨쉬는 화분에 심어야 뿌리 활착력도 좋고 산소투과와 배수가 잘되어 생육이 좋습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오래 전에는 집에서 농사를 지어서 쌀을 가루로 내어 명절에 집에서 떡을 만들어 먹은 시절이 있었다고 하는데요. 떡시루에 삼베천을 깔아놓고 떡과 콩 혹은 호박 말린것을 쌀가루와 물로 반죽하여 시루에 담아서 가열하여 만들어 먹었다고 합니다. 현대에는 먹을 것이 많고 떡도 마트에 가면 있지만 이런 전통 방식으로 가족들과 함께 떡을 해먹는 것도 즐거운 일일것 같습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우리는 이번에  60kg의 재료가  들어가는 큰 항아리를 효소 담는다고 샀습니다. 작은 구멍들이 위에 많이 들어간 특이하게 생긴 길이가 1m정도 되는 카키색 옹기는 정원에 등불을 달아 놓으면 멋진 조명 인테리어라고 합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도고온천역 사거리에는 온양온천, 도고온천, 아산온천에서 열리는  온천대축제  홍보간판이 벌써부터 걸려 있습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항아리 구매후에 우리는 바로 옆에 있는 메밀 막국수 집으로 갑니다. 이곳에서도 도고온천 대축제 광고판이 잘 보이는군요. 여기에서 1.5km만 가면 도고온천이 나옵니다. 그리고 이 식당 맞은편에는 도고온천역이 있어서 기차타고 수도권에서 도고유황온천을 즐기러 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지역민은 할인을 받아서 오천원이면 온천욕을 합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이곳의 테라스에는 이렇게 조형 물레방아도 있고 파라솔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식당에 들어서니 처음으로 눈에 띄는 현수막 하나, 이효석 소설에 나오는 "메밀꽃 필무렵" 이라는제목이 있는 글귀가 보였습니다. 메밀은 다이어트, 숙취해소, 노화방지, 뇌질환, 당뇨, 고혈압 등에 좋다고 하네요.
 

도고 항아리와 메밀 막국수 원정기 사진

 

메밀로 만들어서 그런지 국수가 쫄깃하며 구수한 매밀향이 향긋하던군요.

이집에서는 일인분을 주문하면 사리두개가 한그릇에 나오는데요. 사리 하나는 비빔장을 섞어먹고 난후에 나머지 하나에 살얼음이 동동 떠는 냉면 육수를 부어 먹습니다. 충남지역에서 생산한 열무김치를 곁들어 먹으면 한층 맛있답니다.

안희정 도지사님께서 충남지역농산물을 우리 지역이 소비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계신데요. 유통거리도 좁히고 지역농산물 활성화 차원에서 좋은 방법이라 여기며 특히 채소는 생산 즉시 시간 내에 소비가 이루어져야 신선도 유지와 함께 맛좋은 채소를 소비자가 섭취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제4유형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 폼

댓글작성

충남넷 카카오톡 네이버

* 충청남도 홈페이지 또는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이 가능합니다.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