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개요
- 돼지에서만 발생되는 바이러스 성·출혈성·열성 질병으로, 급성형인 경우 폐사율이 최대 100%에 이르는 등 국제적 교역에 중요한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가능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어 발생 즉시 OIE에 보고 및 돼지관련 교역 중단
원인체
- 아프리카돼지열병바이러스(ASFV)는 아스파바이러스과(Asfarviridea), 아스피바이러스속(Asfivirus)에 속하는 약 200nm 정도의 DNA바이러스이며, RNA바이러스에 비해 안정성이 높으며 환경 및 소독약에 저항성이 크다.
- 대식세포에 침입하여 면역계를 파괴하고 숙주방여용 중화항체 생산이 거의 없으며, 총 24개의 유전형(genotype)으로 구분되고 있다.
바이러스 생존기간
온도, pH(4~10사이) 저항성 강함
바이러스 생존기간을 나타낸 표
구분 |
ASFV 생존기간 |
구분 |
ASFV 생존기간 |
뼈가 있거나 없는 상태의 고기, 다진고기 |
105일 |
내장 |
105일 |
소금에 절인 고기 |
182일 |
(건조)피부 / 지방 |
300일 |
조리된 고기(70에서 최소 30분간) |
0일 (생존기간) |
4에서 보관한 혈액 |
18개월 |
말린고기 |
300일 |
실온에서 배설물 |
11일 |
훈제 및 뼈 제거된 고기 |
30일 |
부패된 혈액 |
15주 |
냉동 고기 |
1,000일 |
오염된 돼지 우리 |
1개월 |
냉장 고기 |
110일 |
|
|
- 출처 : EFSA Journal, 2018 :8(3):1556
- 제시된 생존기간을 알려진(추정) 최대 기간을 반영한 자료이며, 주변온도 및 습도에 따라 변동 가능
전파경로 및 방식
- 감염숙주 : 돼지과(Suidae) 동물
- 직접전파 : 감염돼지와의 직접적인 접촉, 감염된 돼지의 침, 호흡기 분비물, 배설물 등
- 간접전파 : 환경에 저항성이 강한 ASFV가 오염된 차량, 사료 및 도구 등 비생체접촉매개물(fomites)
- 매개체전파 : ASFV에 감염된 물렁진드기(Omithodoros spp.)가 돼지를 흡혈할 때 감염
*사람은 ASF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음
- 중국 정부의 ASF전파요인 분석
중국 정부의 ASF전파요인 분석한 표
자료출처 |
생축 운송 |
잔반 급여 |
사람, 차량 |
원인불명 |
합계 |
'18.10 중국농업농촌부 기자간담회 |
9건 (35%) |
13건 (50%) |
4건 (15%) |
|
26건 |
'18.11 중국농업농촌부 뉴스브리핑 |
13건 (19%) |
23건 (34%) |
32건 (46%) |
|
68건 |
'18.12 중국 CCTV 취재 |
14건 (16%) |
32건 (37%) |
35건 (40%) |
6건 (7%)* |
87건 |
'19.4 중국정부 주관 ASF국제회의 중국연구자 발표 |
16건 (14%) |
49건 (44%) |
46건 (42%) |
|
111건 |
* 파악 불가 요인 : 감염돈 불법 판매, 하천으로 폐사체 버리는 행위 등
임상증상
- 고열, 유산, 혈변, 피부홍반, 청색증, 식욕부진, 횡와, 호흡수 증가, 기침, 만성시 절뚝거림
예방
- 비발생 지역에서 최초 발생시 다른 질병과 혼동될 수 있어 초기진단이 어려울 수 있음
- 최초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및 신고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수준의 전파우려
- 농장의 엄격한 차단방역
- 아프리카돼지열병 임상증상 숙지 (열나는 돼지는 언제나 ASF를 위심할 것!)
- 돼지에 대한 주기적인 임상점검
- 돼지에서 이상 상태 파악시 신속시 신고 (☎ 1588-9060/4060)
- ASF발생국 여행시 가축 접촉 금지 (귀국 후 5일간 가축사육시설 출입금지)
- 육류, 햄, 소시지 등 돼지 산물의 국내반입 금지 (최대 1,000만원 과태료 부과)
- 돼지에 잔반급여 절대 금지
- 외국인 농장근로자 방역교육 (자국축산물 반입금지, 농장왕래금지, 개인위생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