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충청남도
3농정책소개
인사말
'3농정책'이란?
주요내용
실천결의문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정책관련연구자료
우수사례
주요성과
3농 도민리포터
인포그래픽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영상보기
3농정책 사진첩
자료실
관련기관 바로가기
참여마당
3농 한마당
전체메뉴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추진체계도
3농정책위원회
9추진단 20팀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운영개요
운영계획
과정별 운영자료실
정책관련연구자료
홈
> 주요정책 >
정책관련연구자료
정책관련연구자료
인쇄
[충남연구원] (충남리포트 244호)충청남도 축산 악취 발생 특성 분석 및 정책방향
작성자
한지훈
전화번호
041-635-4015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목차]
< 요 약 > 1. 축산 악취 관리의 필요성 2. 충청남도 축산 악취 현황 3. 축산 악취 정책 및 제도 현황 4. 축산 악취 관리방안 5. 추진 전략 및 정책 제언
[요약]
○ 충청남도의 축산업 규모는 전국 대비 한·육우 13.3%(3위), 젖소 18.8%(2위), 돼지 20.4%(1위) 등 축종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15년기준 악취민원 181건 중 122건이 축산 악취 민원으로 약 67%의 높은 비중을 차지함
○ 축산 악취는 주변 주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축산의 이미지 훼손과 부정적 시각을 증가시켜 축산업의 존립문제까지 대두되고 있음.
○ 축산 악취 관리는 악취 유발자인 축산농가에서 우선적으로 책임 의식을 가지고 시작되어야 하며, 고비용의 방지시설보다는 저비용의 현장 여건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모델화하여 확산시켜야 함.
○ 축산시설의 현장악취 평가 결과, 현장 악취강도는 0~4도 수준, 복합악취 희석배수는 3~21배 수준, 22종 지정악취물질은 아세트알데하이드만 제외하고 대부분 불검출 되었으며, 악취시간은 0~12회, 악취 노출도는 0.20~1.11 수준으로 나타남.
○ 충남도 축산악취 관리의 기본 전략으로 ‘원인자 책임의 원칙’, ‘가용기술의 전략적 활용 및 모델화’, ‘실태와 성과 평가를 위한 체계적 모니터링’, ‘조직·제도·행정의 선진화’ 및 ‘협업 및 거버넌스 구축’의 기본방향을 바탕으로 축산환경 이해관계자들 간의 자발적 협의체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함
○ 단기적 성과도 중요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행정의 협업과 거버넌스 체계를 통한 사회학습, 지역공동체 회복 등을 목표로 체계적인 축산 악취 저감 및 관리가 필요함.
문의 충남연구원 (☏ 041-840-1114)
충청남도 축산 악취 발생 특성 분석 및 정책방향 .pdf(1728.7KB)[내려받기]
이전글
[충남연구원](충남리포트 243호) 충남 농촌농업부문 도민 소통형 DB와 정책지도가 필요하다
다음글
트럼프의 통상정책이 한국 농업에 미칠 영향(시선집중GSnJ_226호)
목록
댓글 쓰기
댓글 작성
충청남도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충청남도홈페이지와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담당자
서재연
문의전화
041-635-2511
이메일
sjyeonn95@korea.kr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최종 수정일 : 201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