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충청남도
3농정책소개
인사말
'3농정책'이란?
주요내용
실천결의문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정책관련연구자료
우수사례
주요성과
3농 도민리포터
인포그래픽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영상보기
3농정책 사진첩
자료실
관련기관 바로가기
참여마당
3농 한마당
전체메뉴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추진체계도
3농정책위원회
9추진단 20팀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운영개요
운영계획
과정별 운영자료실
정책관련연구자료
홈
> 주요정책 >
정책관련연구자료
정책관련연구자료
인쇄
한·중 FTA가 충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작성자
한지훈
전화번호
041-635-4014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2014-11-26]한·중 FTA가 충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 목 차 >
1. 한·중 FTA의 의의
2. 대중국 통상현황 및 쟁점
3. 한·중 FTA는 위기인가?
4. 충남도 대응방안
< 요 약 >
● 2012년 베이징에서 통상장관회담을 갖고 본격적인 협상이 시작되었던 한·중 FTA가 2014년 11월 실질적 타결되었음
● 2013년 기준 중국은 충남 제1의 교역상대국이며, 충남의 수입(31억불)보다 수출(309억불)이 10배 정도 더 많은 나라임
● 2013년 충남의 대중국 수출 1위 품목은 전자전기제품으로 217억불(70.2%)을 수출하였으며, 수입은 전자전기제품 8억불(24.7%), 농림수산물 5억불(15.8%) 순
● 교역구조상 충남은 전자전기제품 분야에서 큰 이득이 예상되었고, 화학공업제품, 기계류(수송기계)에서도 이득을 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협상결과 긍정적 효과는 제한적
● 비록 많은 품목이 양허대상에서 제외되었지만 충남은 농림수산 분야에서 큰 피해가 예상되며, 철강금속 및 생활용품, 섬유류에서도 피해가 예상
● 충남은 중국과 교역하는 중소기업의 비율이 매우 높고 한·중 FTA로 이득을 볼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율이 47.7%, 피해를 예상하는 기업이 7.1%로 기대와 우려가 나타나고 있음(충남 수출입 기업 300개 대상)
● 충남이 한·중 FTA를 보다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충남 중소수출기업들이 FTA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충남 FTA활용지원센터’의 예산확대와 기능강화가 필요하며, 수출초보기업에 대한 기초수준에서부터의 지원책을 마련해야 함
출처 충남연구원 (http://me2.do/IxRsDFoG)
2015-한중 FTA가 충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김양중.pdf(1196.5KB)[내려받기]
이전글
한·중 FTA 타결에 따른 충남 농업의 위기와 기회
다음글
충남 야생동식물 서식현황 및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
목록
댓글 쓰기
댓글 작성
충청남도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충청남도홈페이지와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담당자
하늘
문의전화
041-635-2511
이메일
ha2090@korea.kr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최종 수정일 : 201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