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충청남도
3농정책소개
인사말
'3농정책'이란?
주요내용
실천결의문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정책관련연구자료
우수사례
주요성과
3농 도민리포터
인포그래픽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영상보기
3농정책 사진첩
자료실
관련기관 바로가기
참여마당
3농 한마당
전체메뉴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추진체계도
3농정책위원회
9추진단 20팀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운영개요
운영계획
과정별 운영자료실
정책관련연구자료
홈
> 주요정책 >
정책관련연구자료
정책관련연구자료
인쇄
한·중 FTA 타결에 따른 충남 농업의 위기와 기회
작성자
한지훈
전화번호
041-635-4014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2014-11-26] 한·중 FTA 타결에 따른 충남 농업의 위기와 기회
< 목 차 >
1. 한중FTA와 농업
2. 타결내용 및 쟁점사항
3. 충남 농업의 위기와 기회
4. 충남 농정의 대응방안
5. 중앙 농정에 제안사항
< 요 약 >
● 금번 11월 10일 타결된 한중 FTA는 전체 협상결과가 공개되지 않은 상황이므로 성패를 논하기는 이르지만, 분명한 것은 농업분야는 직간접적 피해발생이 현재보다 더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
● 한중 FTA의 농업분야 타결내용 및 쟁점사항은 다음과 같음
- 한국측은 주요 548개 신선농축산물 품목(34%) 양허제외, 가공원료로 사용되는 관련 품목은 개방을 허용한 반면, 중국측은 한국의 주력 수출품목인 101개 품목(8.9%) 양허제외, 식량자급률 부족한 신선농축산물 품목에 대해서 개방을 허용한 절반의 성과
- 쟁점사항은 가공품 수입에 따른 밭작물 생산기반 위축 및 그에 따른 농가경영 악화, 원산지규정·위생 및 검역·식품안전성기준·지역화 등 비관세장벽 협상에 따른 추가영향 예상
● 충남 농업의 위기 및 기회요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함
- 위기요인은 중국산 가공식품 관세감축으로 인한 수입급증, 밭작물 품목군 생산기반 위축과 농가경영의 위기
- 기회요인은 밭작물 품질경쟁력 제고 계기로 삼고 중국 농식품 시장 접근기회 가능성, 비관세장벽 활용전략 등
(단, 기회요인은 현실적으로 미미할 것으로 보임)
● 다음과 같이 충남 농정에 몇 가지 대응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 단기과제로는 기존 자체사업의 재설계과정을 통해 충남 농가의 지속적인 경영 및 소득안정화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대책 수립, 동시에 농업계 주체 간 합의과정 필요
- 중기과제로는 밭작물의 품질경쟁력과 소비활성화를 위한 충남 농정역량 집중 투입(생력화, 품질향상 기술개발 등)
- 장기과제로는 농정예산 집행방식의 변화를 통해 실질 수혜혜택이 농업인·소비자·농촌주민에게 귀결되는 구조 만들기, 소비자 및 민간진영과의 연대와 협력 강조와 실천
출처 충남연구원 (http://me2.do/x4VFb5WL)
2015-한중 FTA 타결에 따른 충남 농업의 위기와 기회-강마야.pdf(1179.9KB)[내려받기]
이전글
한·중 FTA에 따른 충남 수산업의 위기와 기회
다음글
한·중 FTA가 충남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목록
댓글 쓰기
댓글 작성
충청남도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충청남도홈페이지와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담당자
하늘
문의전화
041-635-2511
이메일
ha2090@korea.kr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최종 수정일 : 201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