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충청남도
3농정책소개
인사말
'3농정책'이란?
주요내용
실천결의문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정책관련연구자료
우수사례
주요성과
3농 도민리포터
인포그래픽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영상보기
3농정책 사진첩
자료실
관련기관 바로가기
참여마당
3농 한마당
전체메뉴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추진체계도
3농정책위원회
9추진단 20팀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운영개요
운영계획
과정별 운영자료실
정책관련연구자료
홈
> 주요정책 >
정책관련연구자료
정책관련연구자료
인쇄
한·중 FTA, 충남 지역발전 전략과 대중국 교류협력 차원으로 접근해야
작성자
한지훈
전화번호
041-635-4014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2014-11-26] 한·중 FTA, 충남 지역발전 전략과 대중국 교류협력 차원으로 접근해야
< 목 차 >
1. 한·중 FTA 타결의 의미
2. 현황 및 쟁점
3. 위기와 기회
4. 충남의 대응 방안
5. 향후 과제
< 요 약 >
● 지난 11월 10일에 “실질적으로 타결”된 한·중 FTA 협상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주시할 필요가 있음
- 첫째, 이번 최종 협상은 경제적 협상이라기보다는 정치적 협상에 가까움. 또한 “실질적 타결”이라는 의미는 아직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것임
- 둘째, 최대 관건인 농업부문에서 중국정부가 많이 양보한 것은 중국이 자유무역 경제협력체를 한국을 기점으로 동아시아에서 아시아태평양으로 나아가겠다는 신호탄임
- 셋째, 중국은 결국 미국 주도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 대응하고, 나아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강력한 자유무역경제체제(FTAAP)를 구축해 시진핑 주석의 중국몽(中國夢)을 아태몽(亞太夢)으로 확장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임
●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한·중 FTA 타결은 단순한 경제적 득실만으로는 해석될 수 없으며 지역발전과 대중국 교류협력 차원에서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한·중 FTA 체결에 따른 충남 차원의 대응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음.
- 첫째, 한국과 일본 경제를 포섭하기 위한 중국의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협력체계를 면밀히 파악
- 둘째, 중국 지방정부, 특히 산동반도에서 이뤄지고 있는 국가 및 성급 프로젝트 추진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이 지역들과의 교류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강화
- 마지막으로, FTA 타결로 향후 양 국가 및 지역 간 교류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역사문화와 생태자원을 활용한 충남도 차원의 중국내방객 유치 전략 수립이 선행되어야 함
출처 충남연구원 (http://me2.do/xHqg2lM8)
2014-한중 FTA, 충남 지역발전 전략과 대중국 교류협력 차원으로 접근해야-박경철.pdf(1904.1KB)[내려받기]
이전글
농촌의 에너지자립, 산림바이오매스에서 찾다: 일본 산림구원대 활동 사례와 시사점
다음글
한·중 FTA에 따른 충남 수산업의 위기와 기회
목록
댓글 쓰기
댓글 작성
충청남도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충청남도홈페이지와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담당자
서재연
문의전화
041-635-2511
이메일
sjyeonn95@korea.kr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최종 수정일 : 2015-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