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충청남도
3농정책소개
인사말
'3농정책'이란?
주요내용
실천결의문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정책관련연구자료
우수사례
주요성과
3농 도민리포터
인포그래픽
동아시아 지방정부
3농포럼
알림마당
공지사항
보도자료
영상보기
3농정책 사진첩
자료실
관련기관 바로가기
참여마당
3농 한마당
전체메뉴
주요정책
추진계획
추진조직
추진체계도
3농정책위원회
9추진단 20팀
마을만들기
3농정책'포럼'
운영개요
운영계획
과정별 운영자료실
정책관련연구자료
홈
> 주요정책 >
정책관련연구자료
정책관련연구자료
인쇄
충남의 귀농·귀촌 실태 분석과 과제
작성자
한지훈
전화번호
041-635-4014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2010-08-09] 충남의 귀농·귀촌 실태 분석과 과제
< 목 차 >
Ⅰ. 머리말
Ⅱ. 충남 귀농인구(가구)의 변화
Ⅲ.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향 분석
Ⅳ. 충남 농촌지역으로의 이주 행태
Ⅴ. 맺음말
< 요 약 >
● 본稿에서는 충남의 귀농인구 변화, 도시민의 귀농·귀촌 의향 및 충남 농촌지역으로의 이주행태에 대해 파악, 분석하였다.
● 충남의 귀농인구(가구)도 전국적인 경향과 유사하게 2005년 이후 뚜렷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시군별로 살펴보면 2009년 기준 과거 9년 동안 서천군이 181세대로 가장 많았으며, 공주시(137세대), 논산시(126세대) 순으로 귀농가구가 많았다.
● 농촌지역으로 이주하려는 이유로서 은퇴 후 여가생활을 위해서 가 29.3%로 가장 높고, 농촌이 살기에 더 좋기 때문에 (25.6%), 자신이나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 (17.3%) 순으로 나타났다.
● 한편, 농촌 이주 시 염려되는 점으로서는 생활환경이 불편할 것 같다 가 36.9%로 가장 높고, 수입이 적을 것 같다 17.6%, 직장을 구하기 어려울 것 같다 14.0% 순으로 나타났다.
● 충남 농촌지역으로 전입한 자의 바로 전 거주지(전출지)는 동일 시·군 33.1%, 충청남도 내 타시·군 15.8%, 타시·도 51.1%로 나타나 과반수가 충청남도가 아닌 타시·도에서 전입해 온 것으로 조사되었다. 타시·도 가운데에서는 경기도가 14.7%로 가장 많았으며, 대전 11.0%, 서울 9.5%, 인천 4.5% 순으로 나타났다.
● 앞으로 농촌지역으로 이주해 온 귀농·귀촌인들의 정착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유형에 따라 어떠한 특징들이 있으며 어떠한 정책수요가 요구되고 있는지에 대한 도 차원의 엄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최종적으로는 귀농·귀촌인들이 안전하게 정착해 살아갈 수 있도록 지역별·유형별로 적합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출처 충남연구원 (http://me2.do/xdZpIKxy)
2010-충남의 귀농·귀촌 실태 분석과 과제-유학열.pdf(1092.8KB)[내려받기]
이전글
충남 도시-농촌 교류정책의 현황 및 과제
다음글
충청남도 정보화마을 활성화 방안 연구
목록
댓글 쓰기
댓글 작성
충청남도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충청남도홈페이지와 SNS사이트에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
*
불건전 댓글에 대해서 사전통보없이 관리자에 의해 삭제될 수 있습니다.
만족도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
여러분들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담당부서
농업정책과
담당자
하늘
문의전화
041-635-2511
이메일
ha2090@korea.kr
게재된 내용 및 운영에 대한 개선사항이 있으시면 정보관리 담당부서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남도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최종 수정일 : 2015-08-27